나의검색어

    대금옥저_1번 사진
    대금옥저_2번 사진
    대금옥저_3번 사진
    대금옥저_4번 사진
    대금옥저_5번 사진
    대금옥저_6번 사진
    대금옥저_7번 사진
    대금옥저_8번 사진
    대금옥저_9번 사진
    대금옥저_10번 사진
    대금옥저_11번 사진
    대금옥저_12번 사진

    대금옥저

    view2181 다운로드27
    관련태그
    #관악기 #옥적 #삼죽 #옥돌
    공공누리 유형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으로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상세설명

    • 촬영연도 : 2017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 원천유물설명 : 옥적은 옥으로 만든 관악기의 일종이다. 옥적의 본(本)이 되는 대금은 『삼국사기』「악지」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보인다. 여기서 대금, 중금, 소금을 묶어 삼죽(三竹)이라 부르며 신라 악기로 소개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경주의 옥적은 길이가 1자 9치인데, 그 소리가 매우 청량하다. 속전에 이것은 동해의 용이 바친 것으로서 역대의 보물로서 전한다.”라고 하였다. 통일신라 이전의 대금 실물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나, 경주에서 옥돌로 만든 젓대(대금) 즉, 옥적이 출토되어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현재 국립국악원이 소장한 옥적은 6‧25전쟁 이전에 구입한 것으로 학계에서는 이의 제작 시기를 조선시대로 추정하여 ‘이조젓대’라 부르기도 한다. 옥적은 연주로서가 아닌, 나라의 보물이자 신물(神物)로서 제작된 악기로 의물의 성격을 지닌다.
    • 활용설명 : 대금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여 관광 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한다. 국악기에서 다양한 표현력을 지닌 대금을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직접 연주를 할 수도 있다. 대금은 단독으로도 연주되는데 대금을 통해서 국악과 국악기에 대한 가치를 생각할 수 있으며,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3

    * 출처 -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